태양광발전소에 대한 화재기사를 보면, 거의 대부분이 태양광발전소(PV)와 연계된 ESS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화재사고로 파악됩니다.
단순히 태양광발전소 자체의 하자로 인한 화재사고는 거의 드물다고 할 수 있습니다. 태양광발전소 자체의 화재는 거의 대부분 접속반의 다이오드의 발열에 의한 경우였으나, 접속반 자체의 교체에 그치는 정도의 문제로 큰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런데, 현재는 ESS 가중치우대가 사라졌지만 얼마전까지만 해도 PV 연계 ESS의 경우 가중치(5) 우대정책으로 많은 태양광발전소에 ESS를 추가로 많이 설치하였습니다. 가중치가 사라진 지금도 분산형전원 등 안정적인 전력수급정책 때문에 장기적으로는는 ESS 설치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ESS화재사고나 하자발생 등에 따른 고장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ESS 화재사고를 조사한 산업통상자원부의 공식자료에 의하면, ESS 배터리 셀 자체가 화재위험성이 높다는 점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피하면서, PCS의 신뢰성이 문제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화재사고 조사결과에 의하면, 대부분 배터리 보호시스템의 지락/단락에의한 과전압/과전류 보호차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배터리 모듈 내 결로와 먼지로 인한 화재 위험성, EMS, PMS, BMS의 연계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 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ESS로 인한 화재위험성, ESS의 설치상의 문제로 인해 발전량(충방전량)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미리 제작사 및 시공사에 하자처리 요청을 하여야 하고, 하자수리보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법적인 조치를 취해야 하는 만큼 에너지전문변호사와의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법무법인 아인
태양광,풍력, ESS 재생에너지기업 자문 전문
박하영 변호사

ESS(에너지저장장치), PV(태양광발전시설) 하자 손해배상 상담 전화 : 010. 2588. 0557
'주요분쟁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사업허가신청서 구비서류와 보완 (0) | 2023.08.30 |
---|---|
[발전사업허가기준] 발전사업 세부허가기준 등에 관한 고시 개정사항 (0) | 2023.08.15 |
농지잠식, 농지보전을 이유로 한 개발행위불허, 건축불허가 (0) | 2023.06.30 |
개발행위허가와 보완요구, 보완을 하였는데도 개발행위불허가 하는 경우 소송대응방법 (0) | 2023.06.26 |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위법/부적정 대출관련 (0) | 2023.06.12 |